• PROTOTYPES AND WHY THEY ARE IMPORTANT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하기 전에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것은 중요하다. 실제 제품이 완료된 후에는, 그 제품에서 발생된 문제를 파악하고, 변경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서 프로토타입이란, 실제 제품을 완성시키기 이전에 제품을 평가하고, 수정하기 위한 초기 모델 정도로 볼 수 있다.

프로토타입의 Fidelity란 실제 완성품과 비교하여 프로토타입이 얼마나 신뢰할 만한지 측정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Fidelity는 크게 실제 제품과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정교한 High-fidelity와 완성품과는 거리가 조금 먼, 즉 개략적으로 제작된 Low-fidelity로 구분된다. 여기서 Low-fidelity 프로토타입은 새로운 아이디어나 디자인 등을 떠올렸을 때, 이를 어느 정도 실체화 하기 위해 개발 초기 단계에서 사용된다. 반면, High-fidelity 프로토타입은 개발 후기 단계에서 Low-fidelity를 구체화 하여 완성품에 가깝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 초기의 프로토 타입의 설계는 실제 완성품을 제작하는 것 만큼이나 어렵고,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지금은 다양한 비주얼한 도구 등의 개발로 인해서 개발자들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데에 상당한 도움을 주고 있다.

이러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는 것은 관리나 마케팅, 지원 등에 대한 피드백을 획득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발견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실제 아이디어를 평가하거나 대안을 찾기 위해서 실제 최종 개발 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이를 사용하는데, 이는 실제 개발에 들어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시간과 노력을 상당히 줄여주고 있다.

  • ON PAPER OR ON SCREEN

Paper-based 프로토타입은 종종 종이 위에 화면 이미지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사용성에 관한 문제점을 발견하는데 좋은 반면, 크고 복잡한 제품에 대해서는 작업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성가시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Software를 기반으로한 프로토타입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실제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를 테스트하고, 실제 시뮬레이트하면서 가상으로 테스트 하는 등 보다 발전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한 Rapid prototyping은 개발자에게 보다 빠른 개발 시뮬레이션을 가능케 해준다.)

실제 High-fidelity 프로토타입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있어서 더 일찍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수정 가능하게 해주지만, 시간과 금전적인 문제로 소프트웨어 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 하지만, Low-fidelity 프로토타입은 비교적 저렴하고, 생산에 있어서 더 빠르다. 게다가 더 중요한 것은 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누구든지 참여가능 하다는 것이다. 또한, Low-fidelity는 비교적 상세함이 떨어지지만, 제품에 대해서 특정적인 하나의 해결점 보다는 전체적인 윤곽과 문제의 넓은 면을 볼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대안을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하며,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개발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 THE PROCESS OF PAPER PROTOTYPING

실제 Paper 프로토타입에서는 모두가 이해 가능한 사용자의 업무와 개념적인 설계 등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계획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이루어 진다.

1. 사용자의 업무를 이해하기

2. 개념적인 설계를 구체화하기

3. 사용자가 제품을 어떻게 사용할지 이상적인 경로와 그 대안 경로를 정하기

4.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의 단계를 통해서 계획이 어느 정도 세워졌다면 실제 종이 상에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내는 단계로 간다. 실제 프로토타입 구현은 screens, documentation, helps, ads, training materials, tutorials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어 구현된다. 이러한 구현을 위해서 타겟 사용자 집단과 업무 분석으로부터 나온 좋은 테스트 시나리오, 샘플 사용자를 이용한 업무 테스트 등을 완벽하게 준비하여야 하며, 이러한 것이 뒷받침 되었을 때, 효과적인 프로토타입을 산출해 낼 수 있다.

이제 프로토타입이 완성되었다면 이 것을 평가하여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이 전 단계에서 완성된 프로토타입을 보다 향상시키고, 세련되게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설정하고, 또한 적절한 역할을 사용자들에게 인식시키고,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활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역할을 할당하고 수행한다. 각 개발 팀원들에게 다음과 같은 형태의 역할(computer, Help, Facilitator, Observers)을 주고, 실제 어떻게 제품이 작동되고, 또는 소프트웨어가 수행되는지를 실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단계에서는 실제 개발자들이 평가자로써 테스트에 참여한 다는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 단계는 위의 단계에서 산출된 테스트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 마지막 단계에서는 지금까지의 단계에서 발견된 프로토타입의 평가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제품(또는 소프트웨어 등)을 보다 향상시키고, 개선시키기 위함을 목적으로 가지고 있다.





Low-Fidelity Prototyping for Technical Communicators

답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